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돌담쟁이

트럼프, 8월부터 한국산 전 제품에 25% 관세 부과 예고…무역전쟁 재점화 조짐 본문

뉴스&이슈

트럼프, 8월부터 한국산 전 제품에 25% 관세 부과 예고…무역전쟁 재점화 조짐

돌담쟁이 2025. 7. 8. 06:54
반응형

한국산 제품에 전면적 25% 관세…트럼프, 8월 1일 시행 선언

2025년 7월 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무역정책이 한미 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8월 1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당초 예고되었던 7월 9일 시행 시점에서 약 3주를 연기한 것이다.

그는 이번 조치를 "상호관세(recipient tariff)"라고 표현하며, 이는 기존에 각 품목에 부과되던 관세와는 별도로 추가 적용되는 것이라고 명시했다. 즉, 미국 내에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는 기존 세율 외 추가적으로 2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관세/픽사베이

한국이 미국산 제품에 보복하면 관세 더 부과…보복 경고도 포함

트럼프는 이 발표에서 한국에 대한 추가 경고도 잊지 않았다. 그는 "만약 한국 정부가 어떤 이유로든 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인상한다면, 한국산 제품에 이미 부과된 25% 외에 추가적인 관세 조치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발언은 무역보복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되며, 향후 한미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는 지난 재임 시절부터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미국 내 제조업을 강화한다는 이유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을 펼쳐왔다. 그 일환으로 중국, 유럽, 멕시코, 한국 등을 상대로 관세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여온 전력이 있다.

‘상호관세’란 무엇인가?…트럼프식 무역 압박 전략

트럼프가 언급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는 상대국이 자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무역정책 원칙이다. 이 개념은 트럼프가 자주 사용해온 개념으로, 상대국의 관세 장벽이 불공정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맞대응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한국이 미국산 농산물이나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도 이에 상응하는 비율이나 그 이상을 한국 제품에 부과하겠다는 논리다. 이번 조치 역시 트럼프식 무역 압박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한국 산업계 직격탄…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수출에 타격 우려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철강 등의 수출 비중이 크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2차전지 소재, 메모리 반도체 등은 미국 기업들과 공급망이 긴밀하게 엮여 있는 핵심 산업이다. 이번 관세 부과 조치는 이들 산업 전반에 심각한 가격 경쟁력 약화와 수출 차질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관세 인상은 미국 현지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으며, 이는 곧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협상 여지 남겼지만…

이번 조치의 시행 시점을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연기한 것은 트럼프가 일정 부분 협상의 여지를 남긴 것으로도 풀이된다.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 유예나 제외 품목 지정 등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셈이다.

 

한국 정부·기업 대응 전략 주목…외교·경제적 해법 모색 시급

트럼프의 관세 폭탄 예고는 한국 정부와 산업계에 커다란 외교적·경제적 도전 과제로 떠올랐다.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는 즉각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고, 산업계 역시 긴급 대응 회의를 통해 대미 로비 강화, 대체 시장 모색, 현지 생산 확대 전략 등을 논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과의 통상 협의에서 한국이 WTO 협정 및 한미 FTA에 기반한 대응 논리를 마련해야 하며, 동시에 미국 내 정치 여론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한미 무역 갈등, 장기화 가능성 대비해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는 단순한 무역 이슈를 넘어선 정치·외교적 문제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다. 8월 1일이라는 시한이 정해진 만큼, 그전까지 한국 정부와 산업계가 얼마나 전략적으로 대응하느냐에 따라 관세 시행 여부와 무역 질서의 향방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