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돌담쟁이

코스피 3,000선 사수…미국-이란 충돌, 유가·전기요금·수출입까지 경제 전방위 변수 분석 본문

뉴스&이슈

코스피 3,000선 사수…미국-이란 충돌, 유가·전기요금·수출입까지 경제 전방위 변수 분석

돌담쟁이 2025. 6. 24. 20:40
반응형

중동 리스크와 글로벌 경제 충격파…한국경제의 대응력과 위험 요인 총정리

경제/픽사베이

1. 미국-이란 무력 충돌…긴장감에 코스피 출렁

2025년 6월,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정밀 타격하며 중동 정세가 급변했습니다.
이란 의회는 즉각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결의했고, 원유 수급 불안정에 대한 공포가 국제 금융시장 전반에 퍼졌습니다.

한국 증시도 즉각 반응했습니다. 코스피는 장 초반 2,900대로 하락하며 6거래일 만에 약세 전환했으나,
개인 투자자들의 1조 3,700억 원 규모의 순매수가 시장을 떠받치며 3,000선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개인 투자자의 실질적 방어 능력을 보여주는 한편,
외국인·기관 투자자의 매도세가 여전히 국내 시장의 취약성을 드러낸 신호로 해석됩니다.


2.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기…원유 수입 70% 이상이 걸린 ‘에너지 안보’ 리스크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경우,
한국 전체 원유 수입의 약 70~85%가 차단될 수 있습니다.
국내 원유 수입의 중동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라크 등은
한국 석유 공급의 핵심국가이며, 이들 모두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해야 합니다.

국제 유가(WTI, 브렌트유)는 단기간에 10~14% 급등,
JP모건은 유가가 배럴당 120~150달러 수준으로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유가 상승이 아니라 물가 전반, 수입 원가, 제조원가, 소비심리, 전기요금에 이르기까지
연쇄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전기요금 동결…물가 안정 vs. 한전 적자, 정부의 고심 끝 결정

한국전력은 2025년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를 kWh당 +5원으로 유지하며 요금을 동결했습니다.
이는 국제 유가 급등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국민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결정입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갈등이 있습니다.
한전은 지난 3년간 누적 적자 규모가 30조 원을 초과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요금 동결은 공기업 재정 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즉, 이번 조치는 여름철 냉방 수요 급증기 이전의 물가 안정용 카드일 수 있으나,
하반기 유가가 상승하면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4. 수출 호조, 6월 무역수지 흑자…반도체·자동차·선박 중심

6월 1~20일 기준, 한국 수출은 387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했고,
수입은 361억 달러(+5.3%)로 무역수지는 2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수출 증가 품목별 분석:

  • 반도체: 88.5억 달러(+21.8%)
  • 선박: 15.8억 달러(+47.9%)
  • 컴퓨터 주변기기: 7.8억 달러(+32.6%)
  • 승용차: 36.6억 달러(+9.2%)

반면, 가전(-26%), 무선통신기기(-33%), 석유제품(-0.5%)은 부진했습니다.

수출 국가별로는:

  • 증가: 미국(+4.3%), EU(+23.5%), 대만(+46.3%)
  • 감소: 중국(-1.0%), 베트남(-4.3%), 싱가포르(-3.0%)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평균 수출은 12.2% 증가해 수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종합 분석: 한국 경제, 회복세 속 복합 리스크 공존

            항목                                     긍정 지표                                                              우려 요소
증시 개인 방어, 코스피 3,000선 유지 외국인·기관 매도 집중
에너지 유가 급등 대비 정부 대응 시작 호르무즈 봉쇄시 수입 차질 가능성
전기요금 물가 안정 기대 한전 적자 지속
수출 반도체·선박·자동차 등 회복세 중국·베트남 수출 감소, 유가 변수
 

이번 이란-미국 충돌 사태는 글로벌 공급망과 에너지 안보, 수출입 가격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은 수출 회복과 코스피 상승 등 긍정 지표를 바탕으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나,
중동 불안정성,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공공요금 구조 등의 복합 리스크에 민감하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투자자와 정책당국 모두 단기 성과보다 중장기 구조 개선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