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반응형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돌담쟁이

부부가 함께 든든한 노후를 준비하는 법: 국민연금 3종 세트 완벽 활용 가이드 본문

뉴스&이슈

부부가 함께 든든한 노후를 준비하는 법: 국민연금 3종 세트 완벽 활용 가이드

돌담쟁이 2025. 6. 23. 22:32
반응형

국민연금으로 준비하는 부부의 노후, 어떻게 시작할까?

노후 준비의 핵심은 안정적인 소득 기반입니다. 그중에서도 국민연금은 한국에서 가장 확실하고 지속 가능한 공적 노후보장 수단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국민연금은 알아도, 제대로 활용하지는 못한다’는 점이 문제인데요.

특히 부부가 함께 안정된 노후를 누리기 위해서는 단순히 연금을 받는 것을 넘어, 제도적 장점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바로 국민연금 3종 세트, 즉 ▲실업 크레딧 ▲연금 맞벌이 ▲연기연금 제도가 그것입니다.

 

노후연금/픽사베이

국민연금 3종 세트란?

1. 실업 크레딧: 실직해도 연금 끊기지 않게

‘실업 크레딧’은 실직한 청년이나 중장년이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구직급여 수급자가 대상이며, 국민연금 보험료의 75%를 국가가 지원해 줍니다.

  • 최대 12개월까지 지원 가능
  • 본인은 25%만 부담
  • 구직급여 종료 후 다음 달 15일까지 신청해야 함
  • 인정소득 기준은 70만 원이며, 향후 상향될 예정

☞  예시: 월 평균 소득 150만 원이었던 가입자가 실직 후 실업 크레딧을 신청하면, 매월 약 6만 3천 원의 보험료 중 4만 7천 원은 정부가, 1만 6천 원은 본인이 부담합니다.


2. 연금 맞벌이 전략: 부부 모두 연금 받게 만드는 법

한 명만 국민연금에 가입한 외벌이 부부라면, 미래 노후에 받는 연금 총액은 그만큼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다음 제도들을 활용하면 부부 모두 국민연금 수급권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임의 가입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나 경력 단절자도 스스로 보험료를 납부하고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이면 누구나 가능하며, 소득 없는 배우자에게 꼭 권장되는 방식입니다.

✔ 추후 납부(추납)

과거에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았던 기간이 있다면, 이 기간에 대한 보험료를 나중에 일시 납부하거나 분할 납부해 가입 기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 최소 1개월 이상, 최대 10년까지
  • 납부 금액은 당시 기준이 아닌 현재 소득 기준으로 산정

✔ 임의 계속 가입

60세 이후에도 국민연금 수령 요건을 채우지 못한 경우(가입 기간 10년 미만), 최대 5년까지 연장 가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부부가 모두 국민연금 수급권을 확보하면, 외벌이보다 연금 수령 총액이 약 1.5~2배 이상 늘어날 수 있습니다.


3. 연기연금: 수령 시기를 늦추면 연금이 더 많아져요

연금 수령은 만 60세부터 가능하지만, 이를 늦추면 연금액이 상승하는 ‘연기연금’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령 시기를 1년 늦출 때마다 연금액이 7.2% 증가하며,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하므로 최대 36%까지 수령액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연기연금이 유리한 경우

  •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장수 가능성이 높은 사람
  • 일정 기간 동안 다른 소득이 확보되어 있어 연금 수령을 당장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 예시: 매달 100만 원씩 받는 연금을 5년 연기할 경우, 연기 후 수령액은 약 136만 원까지 증가합니다. 기대수명이 길수록 총 수령액은 더 커지게 됩니다.


연금 수령 최적 전략은 이렇게 세우세요

               전략 요소                                                                            고려할 조건
실업 크레딧 실직 시 국민연금 가입기간 유지 필요할 때
연금 맞벌이 배우자도 연금 수급자격 확보가 필요할 때
연기연금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소득이 있는 경우
 

노후에 연금은 곧 ‘월급’입니다. 특히 부부가 함께 연금을 받는다면 의료비나 생활비 걱정 없이 보다 안정적인 노후를 누릴 수 있습니다.


✔ 결론: 국민연금도 전략이다

국민연금은 단순히 가입한다고 끝이 아닙니다. 실업 크레딧, 연금 맞벌이, 연기연금 제도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받는 금액, 받는 기간, 노후의 안정성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부부가 함께 준비한다면 국민연금만으로도 든든한 노후가 가능합니다.

지금부터라도 이 ‘3종 세트’를 꼼꼼히 따져보고,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적극 활용해 보세요.

반응형